울릉아, 독아...(18)
8월 14일(일요일, 末伏).
아침 7시에 저동항을 출발,꿈에도 그리던 獨島에 다녀 온 뒤,오후 내내 울릉도 육로일주 다녀오고 나서,
....................................................................................................................................................
....................................................................................................................................................
....................................................................................................................................................
....................................................................................................................................................
........................................... Off the Record ! ... ........................................................................
....................................................................................................................................................
....................................................................................................................................................
....................................................................................................................................................
....................................................................................................................................................
위 Off the Record ! 부분에 대해서 알려고 하면 다치니까, 일 없음 !
----------------------------------------------------------
드디어 일제의 사슬에서 벗어난 광복절(8월 15일) 아침이 밝았다.
광복 60주년이 되는 날 아침을 숙소에서 '라면'으로 떼우고 나서, 울릉도 입도 3일차이자 울릉도를 떠나야 하는 마지막 날이 되어 우리 일행은 일찍 숙소에서.. 두 대의 콜택시를 타고 길을 떠났다.
한걸음에 내달은 곳이 바로 나리분지(羅里盆地) .
먼 옛날 바다로 부터 용출한 화산섬인 울릉도는 섬 전체가 거의 험악한 산지로 형성이 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유일하게 평지가 있었으니 바로 '나리분지'다. 면적은 605,000평. 동서 1.5㎞, 남북 2㎞.
성인봉(聖人峰) 북쪽의 칼데라 화구가 함몰되어 형성된 화구원(火口原)이다. 그 안에 분출한 알봉(卵峰, 538m)과 알봉에서 흘러내린 용암에 의해 2개의 화구원으로 분리되어 북동쪽에는 나리마을, 남서쪽에는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는 알봉마을이 있다.
우산국(于山國) 때부터 사람이 살았으나 조선조에 이르러 공도정책으로 수백년 비워오다가 고종 때 개척령에 의해 개척민들이 이곳에 왔다. 옛날부터 정주한 사람들이 '섬말나리' 뿌리를 캐어먹고 연명하였다고 하여 '나리골'이라고 부른다.
8월 15일 아침에 길을 나선 우리 일행은 다시 울릉도 일주도로를 달려서 北面의 면사무소가 있는 천부리에서 오른쪽으로 난 좁은 산길로 접어 들었다. 4륜 구동의 테라칸 택시는 경사가 급한 고바위도 교옹장히 잘 올랐다. 고유가 시대에 산길을 운행하노라면 기름값도 장난 아니게 많이 든다는 기사의 푸념도 들어가면서 정말로 속리산 말티고개 만큼 꼬불꼬불하고 급한 경사길을 한참 오르자 드디어 나타나는 평원.
이렇듯 산지로 구성된 울릉도 안에 60만평이 넘는 대평원이 존재하다니 ! ......
위 나리분지의 행정상 주소는 경북 울릉군 북면 나리동(羅里洞) 산 44-1로 되어 있으나 사실 나리분지 안에 지천으로 피어 있는 백합과의 '섬말나리(학명 : Hanson Lily)' 꽃이름에서 유래된 것이 아닌가 하는 필자만의 생각이다. 여러분들은 어떠신지 ?
이 '섬말나리'는 위 표지판에 작은 글씨로 "섬말나리(백합과)는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울릉도에서만 자생하는.. " 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또 학계에서도 韓國이 원산지이며 울릉도와 동북부지방, 만주.연해주 지역과 일본에서 자라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하니까.
이 '섬말나리'는 6~7월에 꽃이 피며, 꽃잎 조각은 6개로 길이가 3~4cm로써 꽃이 뒤로 둥글게 말린다. 백합(lily)의 또 다른 이름인 나리 라는 말 자체가 순 우리말이니 달리 말해 무엇하리 ?
-------------------------------------------
위 오른쪽 '울릉국화'는 들국화의 일종인데, 줄기에 광택이 나고 잎이 비교적 두꺼우며, 두 갈래로 찢어진 형상에 매년 9, 10월 경에 설상(舌狀)형의 흰 꽃이 핀다. 이제 바야흐로 9월. 가을이 깊어감에 따라 만개할 '울릉국화'가 보고싶어 진다. 어느새.
-------------------------------------------------
<사족> 이 '섬말나리' 꽃을 사진 찍고 하면서, 느낀 것은 "역시, 우리 것은 좋은 거시여~!"라는 생각이고, 마침 이 '섬말나리' 복원을 연구하여 [獨島 역사찾기 운동]을 이끌어 가고 있는 영남대 김규원 교수의 이름이 130여 년 전 울릉도 감찰사였던 이규원(李奎遠)과 같다는 데에 놀랐는데, 묘한 역사의 연결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하면 지나친 '견강부회'일까 ?
자, 나리분지의 평평한 '섬말나리 동산'에.. 필름 카메라를 든 박경화님만 남겨 두고, 나머지 8명의 용사들은 모두 청소년 야영장을 짓고 있는 나리분지의 한 쪽 트인 곳을 지나서, 웬만해서는 가보기 힘들다는 용출소(湧出所)로 향해 걸어가기 시작했으니...
----------------------------------------------------- ( To be Continu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