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필 나부랭이/이곳저곳 탐방

경기도 똑(타)버스 첫 이용 후기(2024년 2월 28일)

똑똑하게 이동하는 경기도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 Demand Reponsive Transit)가 바로 택시와 버스의 특장점을 결합한 똑(타)버스인데, 작년 4월에 경기둘레길 安山 구간에서, 또 가을에 평화누리길 坡州 구간에서 소정 코스를 걷고 나서 이 똑버스를 이용해 볼 요량으로 똑타 앱에 접속해 봤으나 두 번 다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 있다'라는 메시지가 뜨는 통해 모두 실패했답니다.

그러던 중 엊그제 고양시 일산동구 사리현동 소재의 아내 회사에 업무를 대행해 주고 나서 7.5km 거리(뭐 걸어도 되지만)의 우리집으로 복귀할 때 고봉동주민센터 앞 정류장까지 걸어서 그 앞에서 똑타 앱에 접속해 본 뒤 고양 똑버스 5호차 A-1 좌석 배정받아 탑승하고 목적지 일산역에서 하차해 봤습니다. 결제(決濟)도 후불교통카드로 했는데 스마트폰의 NFC 기능을 활성화해도 되지만 선불/후불카드 모두 가능하되 경기도 G카드를 휴대폰 커버에 넣고 다니는 저와 같은 경우는 결제카드를 다른 것으로 등록해야만 1장의 카드만을 인식하는 버스 단말기와 충돌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알려 드립니다.
 
나무위키 사이트에서 그 연혁을 살펴 본 바
2021년 12월 파주시(坡州市) 운정·교하지구에서 최초로 시범운행하였고
2023년 3월 안산시(安山市)에서 두번째로 시행하고 있으며 그 이후에 2023년 하반기부터 고양시(高陽市)를 비롯하여 김포시, 수원시, 양주시, 평택시, 안성시, 하남시, 화성시 등 道內 10개 시에서 확대시행 중 또는 계획이라고 합니다. 평화누리길 고양, 파주 구간에서는 마땅히 이용할 수 있는 코스가 아직은 不備하지만 향후 확충할 때를 기다려 봐야 하고 경기둘레길, 경기옛길 의주길, 영남길, 봉화길 등을 걷고나서 복귀할 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엊그제 이용해 본 순서대로 앱 화면을 캡처해서 보여 드리겠습니다.

먼저 탄 승객 한 분이 내리고 나자 자연스럽게 저 혼자와 기사님만 남게 되었기에 몇 가지 질문을 드렸습니다.

상당히 젊은 기사분인데 교옹장히 친절했고 高陽 똑버스에 대해 거의 모든 것을 물어봤고 답을 들었어요. 마지막으로 給與는 괜찮나고 했더니 잠시 웃으면서 "최저시급...."이라 말끝을 흐리더군요. 원캉 살기 어려운 세상이니, 뭐.

경의·중앙선 一山驛

경의 · 중앙선 白馬驛 앞 버스정류장인데 高陽 食寺지구 똑버스 1호차, 4호차가 거의 동시에 들어 오네요.

 나무위키 자료 주석(footnote)에 보면 06:00~09:30(출근시간대) 식사지구 ~ 대곡역 구간 운행, 17:30~21:30(퇴근시간대) 식사지구 → 대곡역 → 백마역 → 식사지구 구간 운행, 그 외 시간대는 자유노선으로 운행.

 

● 어제 밤 11시 직전에 수정된 나무위키 - 똑버스 最新 자료

https://namu.wiki/w/%EB%98%91%EB%B2%84%EC%8A%A4

 

똑버스

경기교통공사 의 똑타 시스템을 이용하여 경기도 와 경기교통공사가 서비스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 똑버스의

namu.wiki

 

● bluejace 님이 2023년 12월 10일에 올린 Daum 블로그(티스토리) 자료
https://realjace.tistory.com/entry/%EB%98%91%EB%B2%84%EC%8A%A4-%EC%9D%B4%EC%9A%A9-%EB%B0%A9%EB%B2%95-%EC%9A%94%EA%B8%88-%EA%B0%80%EB%8A%A5%EC%A7%80%EC%97%AD-%EC%B4%9D%EC%A0%95%EB%A6%AC

 

똑버스 이용 방법 요금 가능지역 총정리

똑 버스의 이용방법과 이용요금 그리고 이용가능지역에 대해 총정리해 보겠습니다. 경기도의 새로운 교통서비스인 똑 버스는 올해 여름부터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 중에 있는데요, 수익성

realjace.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