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널리 유용한 정보

[오후의 산책] 漢江다리 33개 총정리

2024년 3월 26일(火)

 

제가 慶南 居昌에서 태어나 5살 때 부모님 따라 상경해서 서울시 용산구 신영동에 살며 서울 南山 獨逸文化院 밑 후암(厚岩)초등학교를 5학년 1학기 때까지 다녔습니다. 1961년 4.19의거 때 남산 기슭으로 최루탄 터지는 가운데 대학생 형님들이 민주화 대모하던 장면이 어렴풋이 생각납니다.

1960년대에는, 漢江종합개발계획이 시행되기 전이라 매년 國軍의 날(10월 1일)이 되면 동부이촌동 부근 漢江백사장에서 전투기 시범 비행과 가설 타켓에 대한 시험 폭격 등 행사가 거행되곤 했고 그 외에는 강가로 내려가 수영도 했었던 호랑이 담배먹던 시절 이야기를 반추해 봅니다. 한강을 가로 질러(노량대교만 올림픽대로 上에) 놓인 한강다리는 왼쪽 下流 일산대교에서부터 강 상류 팔당대교까지 오늘 현재 33개입니다. 北韓 평양 대동강에는 1/3에도 미치지 못하는 7개 뿐인데.

 

18. 반포대교와 19. 잠수교는 2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혹은 다른 다리로 간주되기도 합니다.

24. 청담대교는 2층으로 통행하지만 보통의 경우 1개의 다리로 계산합니다.

 

한강다리 가설 연도 順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33번째 한강다리는 서울시 강동구 고덕동과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연결하는 사장교인데 금년에 준공 예정이고 다리 이름이 아직 미확정이라서 32. (가칭)고덕대교/구리대교라고 엑셀표에 넣었습니다. 준공 연도 연기된 듯하고 30. 강동대교와 31. 구리암사대교 사이에 가설·개통됩니다.

길벗 소댕님께서 엊그제 서울둘레길 제2코스(용마·아차산코스)를 혼트하면서 아차산 능선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바로 아래가 구리암사대교, 그 왼쪽이 (가칭)고덕대교/구리대교입니다. ↓

 

漢江을 강남과 강북을 가로지르는 32개 다리 外에 南南을 연결한 유일무이한 다리가 15. 노량(鷺梁)대교입니다.

1985년 매일경제신문 기사

 

北韓 평안남도 평양직할시 대동강 다리 7개(구글 어스 확대해서 본 2023년 6월 사진).

왼쪽부터 1. 충성의 다리, 2. 양각교, 3. 대동교, 4. 옥류교, 5. 릉나다리, 6. 청류교, 7. 대동강교

끝.